리더(Leader)는 리더(Reader)다
이병철, 박성수, 안철수, 마오쩌둥, 빌 게이츠, 손정의, 나폴레옹, 윈스턴 처칠, 빌 클린턴, 오프라 윈프리,토마스 에디슨, 칼리 피오리나, 이들의 공통점은? 바로 독서광이라는 것이다.
안철수연구소의 안철수 사장은 "필요한 책을 한국에서는 구할 수 없다" 고 말할 정도로 왕성한 독서욕을 자랑한다. 마오쩌둥은 국공 내전의 전쟁 속에서도 틈틈이 책읽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최근 <포춘> 지가 선정한 최고 영향력 있는 여성 순위에서 3위에 오른 '토크쇼의 여왕' 오프라 윈프리는 독서광으로서 미국에 독서 열풍을 일으킨 주역이다. 유럽을 평정했던 프랑스의 나폴레옹은 전쟁터에서도 말 위에서 책을 읽었다는 일화를 남길 정도로 대단한 독서광이었다. 역사 속에서 굵은 획을 그은 유명인들은 책의 위력을 일찌감치 활용한 사람들이다.
독서를 해야 한다. 지도자(Leader)는 독서가(Reader)다. 독서(Reading)를 통해서 학습(Learning)을 하면 반드시 얻을 수 있다. 충전을 하지 않으면 방전이 되지만, 독서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충전을 하면 지속적으로 빛을 내는
것이다.
하루에 한 시간씩 독서를 하면 적어도 1년에 50권 정도는 읽을 수 있다. 매년 학위를 하나 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 분야에 혼신의 힘을 다해서 근무하면서 독서를 10년 이상 하면 그 분야에서 전문가 소리를 듣게 된다. 다른 사람에게 경험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위치에 서게 되는 것이다. 한 시간씩 독서하기가 어려우면 최소한 30분씩이라도 책을 읽어야 한다. 하루에 30분씩 5년 동안 책을 읽으면, 무능하다는 이유로
직업을 잃는 일은 없게 된다.
정말로 책을 읽을 시간이 없으면, 차를 타는 시간을 이용해서 테이프를 듣는 방법도 있다. 테이프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기록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다.
* 성공한 사람들의 독서 비결
원성일 본부장은 한 달에 한 두 번 이상은 꼭 서점에 들른다.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마케팅/영업 분야와 관련한 책은 물론이고, 다양한 분야의 책을 구입한다. 그에게 독서 비결을 물어 보았다. 그의 독서 비결은 간단 명료했다.
"어떤 분야에서든지 자신이 일하는 업무와 관련한 책을 최소한 100권 정도는 구입합니다. 그 가운데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책 세 권 정도를 선정해서 정독합니다. 다른 책은 목록을 보아 가며 필요한 부분만 발췌해서 읽습니다. 읽은 내용은 요약해서 컴퓨터에 수록합니다. 정기적으로 노트한 것을 읽고 생각합니다. 하루에 한 시간은 꼭 업무와 관련한 책을 읽습니다."
현대캐피탈의 회장 출신인 이계안 국회의원은 매달 30권 이상의 책을 읽는다. 책상에 앉아 볼 책, 침대에서 볼 책, 차 안에서 볼 책을 따로 구분하여 독서하는 게 생활화되어 있다.
직장인이 독서를 해야 하는 세 가지 중요한 이유가 있다.
첫째는 빠른 시간 안에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다.
둘째 이유는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해서다.
세 번째 독서의 이유이자 세 가지 이유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이유는 '자극' 이다.
좋은 책을 읽으면 우리의 두뇌가 자연스럽게 자극을 받아 반응을 일으키는 경험을 한 적이 있을 것이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고, 막혔던 부분이 열리게 된다.
김혜경 이사는 아들, 딸과 함께 '독서 1000' 운동을 하고 있다. 노트에 읽은 책과 관련한 내용을 적는다. 아들과 딸은 그 내용을 아버지에게 이야기한다. 김 이사는 이야기를 듣고 대화를 한다. 김 이사 자신도 '독서 1000' 을 실천하고 있다. 책을 읽고 나서는 자녀들에게 이야기한다. '독서 1000' 을 실천한 지 6개월째 된 지금은 자녀들이 독서에 재미를 붙였다고 한다. 책을 읽고는 경쟁적으로 독서 노트에 기록한다. 누가 먼저
'독서 1000' 에 도달할지 경쟁을 한다. 그 덕분인지 공부하라는 소리를 김 이사는 한 적이 없다. 오히려 쉬면서 하라고 이야기한다.
독서를 하자, 그러면 리더가 된다.
- 최염순(카네기트레이닝, 카네기연구소 소장)
이제 다수의 직장인들은 깨우치기 시작한 것 같다.
경험만으로, 연륜만으로, 근속만으론
오래오래 자신의 가치를 유지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주위에서 몰라보게 늘어나고 있다.
이제 그들이 가진 고민은 어떻게 하면 되는가이다.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고민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진 것이다.
나는 이 책을 통해 여러분이 '어떻게'를 몸에 완전히 익힐 수 있기를 바란다.
그 다음에는 곧바로 실천에 옮기는 일이다.
무지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읽고 난 다음에도 개선이 없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잘못된 것이다.
- 출처 : 공병호 박사의 "핵심만 골라 읽는 실용독서의 기술 " p.279에서.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설득의 대가가 되는 11가지 화술 (0) | 2007.01.23 |
---|---|
[스크랩] 모처럼 이곳에서 오랫동안... (0) | 2007.01.15 |
또 하루가 지나간다... (0) | 2007.01.04 |
[스크랩] 활활 타오르는 뜨거움이 있었으면 좋겠다 (0) | 2007.01.02 |
돌산 대교의 야경 (0) | 2006.12.26 |